전체 글 (1204) 썸네일형 리스트형 Elastic Beanstalk와 Jenkins로 CI/CD 구현(4) 이제부터는 S3를 추가하고 Jenkins Pipeline을 이용하여 S3에 war 파일을 업로드 후 Elastic Beanstalk에 Deploy 하는 실습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S3 생성 war 파일을 업로드할 S3를 하나 생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S3 버킷 생성 AWS에서 S3 검색 후 버킷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버킷 이름을 입력 후 리전은 서울 리전으로 선택하고 생성을 합니다.(S3 리전은 ElasticBeanstalk의 리전과 동일하게 맞춰야함, 서울리전이 이상하게 ElasticBeanstalk가 업로드가 안되서 도쿄 리전으로 생성하고 진행함 > 도쿄리전은 참고로 northeast-1 임.) 생성되었습니다. - AWS CLI를 통한 업로드 권한을 가지기 위해 권한을 설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Elastic Beanstalk와 Jenkins로 CI/CD 구현(3) - java와 jenkins 설치를 해봅시다. EC2에 접속하여 Java8 버전을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Amazon Linux로 진행하신 분들은 기본으로 7 버전이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8 버전 설치 후 설정을 변경해주시는 작업을 진행하셔야 합니다. Ubuntu 18로 생성하신 분들은 아래 내용을 그대로 따라 하시면 됩니다. - 일단 ec2에 ssh로 붙으신다음에 > 설치를 진행해 봅시다. - sudo apt update 명령어를 사용하여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 sudo apt update - java 8 버전을 설치 합니다. $ sudo apt install openjdk-8-jdk - 자바 설치가 끝나셨으면 java의 버전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java -version .. Elastic Beanstalk와 Jenkins로 CI/CD 구현(2) 1. IAM Role 생성 AWS CLI를 통해 S3와 Elastic Beanstalk에 접근하기 위해 역할을 생성하도록 하겠습니다. IAM > 역할로 이동 후 역할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 AWS 서비스, EC2 등 차례로 선택 후 다음 권한을 클릭합니다. - 추가해야 될 정책은 두 가지입니다. 1) AmazonS3FullAccess 2) AmazonElasticBeanstalkFullAccess - ec2인스턴스를 생성 후 IAM Role을 연결해 주는 작업을 진행해 봅시다. - 첫번째로 ec2 인스턴서를 생성 합니다. - 보안 그룹을 설정합니다. - 보안 그룹 이름과 설명을 입력한 후 22 포트의 경우 내부에서만 접속 가능하도록 설정하고 80 포트는 Git으로부터 webhook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Elastic Beanstalk와 Jenkins로 CI/CD 구현(1) - 일단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위해 스프링 이니셜라이저 사이트로 이동한다. https://start.spring.io/ 아래와같이 서정하고 제너레이터를 클릭하여 파일을 다운받는다. - 인텔리J를 실행시키고, 스프링 이니셜라이저에서 다운받은 파일을 오픈한다. - java -> com.example.CI.CD -> HomeController.java 파일을 생성하고, 아래의 코드를 작성하여 넣는다. package com.example.CI.C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Controller public class HomeCont.. AWS Elastic Beanstalk로 Web Application 만들기 예제 1. 엘라스틱 빈스톡 서비스를 검색하고, 서비스에 들어간다. - 여기서 주의할점은 해당 서비스는 아직 서울리전에서는 사용이 불가능 하므로, 리전을 현재 서울에서 가장 가까운 도쿄로 변경 후 서비스를 생성해야 한다. 2. Elastic Beanstalk 시작하기를 클릭하여 아래의 정보와 같이 입력을 해준다. 3. 가장 많이 쓰는 웹서버인 tomcat을 선택 후 샘플애플리케이션을 체크 후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4. 생성 되고있는 모습, 자동으로 환경설정 등을 수행한다. 5. 설정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화면에 표시된다. 6. 해당 URL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INDEX 화면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화면확대 및 필기 프로그램 Zoomit 줌잇 온라인 수업 및 오프라인 수업 모두에서 활용가능한 줌잇(Zoomit) 프로그램을 소개해드립니다. Zoomit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컴퓨터 화면 확대를 아주 빠르고 간편하게 해줄 수 있구요, 화면 위에 간단한 필기 또는 표시를 손쉽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줌잇 프로그램을 다운받는 주소 입니다. https://docs.microsoft.com/ko-kr/sysinternals/downloads/zoomit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요 그냥 OK 누르시면 바로 프로그램이 동작합니다. [Ctrl] + [1] 을 누르면 화면 확대가 시작됩니다. 이때 '마우스'의 휠을 위로 돌리면 확대, 아래로 돌리면 축소가 됩니다. [Esc]를 누르면 취소가 되어 원래대로 돌아옵니다. [Ctrl] + [2.. HTML - Javascript JavaScript For Of Loop The for of statement loops through the values of any iterable object: javascript - import - export 하는 방법 import 하는 방법 import {Coffee, ICoffee} from "../domain/coffee"; ------------------------------------------------------------------------------------- export 하는 방법 export interface ICoffee { id: string; name: string; bean: string; team_name: string; //추가 } export class Coffee { private PK: string; // partition key id: string; name: string; bean: string; team_name: string; //추가 constructor(coffee: .. 이전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