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04) 썸네일형 리스트형 CloudWatch와 Grafana 연동 # 클라우드와치와 Grafana 연동 사례 ALB LoadBalancer 생성 1. AWS > EC2 인스턴스 > LoadBalancer 탭 > Load Balancer 생성을 클릭하여 생성한다. 2. Application Load Balancer > 생성을 클릭하고, ALB를 생성한다. 3. 이름: ALB의 이름을 지정한다. 리스너: 서비스 포트를 지정해 준다. 가용영역: 생성한 서브넷을 넣어준다. 4. 새 보안 그룹 생성에서 새로운 보안그룹의 이름을 입력하고, 포트의 범위등을 설정한다. 5. 라우팅을 구성한다. - 대상그룹이 없으면 대상 그룹 생성을 클릭하여 해당 대상그룹을 생성한다. 6번 참고. 6. 로드밸런서에 등록할 인스턴스를 선택 후 대상그룹을 생성한다. 포트는 80으로 들어오는 트래픽에 대해서 로드밸런싱을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7. 마지막 검토 단계이다. 8. 대상그룹.. AWS ELK를 구성해보자(3) 이번에는 metricbeat와 filebeat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logstash로 보내서 전처리 작업이후 elasticsearch로 적재한 뒤 kibana에서 데이터를 시각화해서 보는 작업을 진행해보겠습니다. # 메트릭비트 설치하기 rpm을 다운받아서 설치한다. cd curl -L -O https://artifacts.elastic.co/downloads/beats/metricbeat/metricbeat-7.10.2-x86_64.rpm sudo rpm -vi metricbeat-7.10.2-x86_64.rpm # 설정파일 수정하기 메트릭비트의 설정파일을 수정해준다. sudo vi /etc/metricbeat/metricbeat.yml 아래처럼 메트릭비트의 출력값들이 엘라스틱서치가 아니라 로그스태시로 전.. set number [vi 라인번호 표시] * 입력 모드 ( Insert or Append Mode ) 에서는 명령을 입력할 수 없으니 * * ESC 키를 눌러 입력 모드에서 빠져나온 후 명령을 입력하도록 한다 * set number vi 편집기에서 커맨드 모드로 진입한다. ( : 를 입력 - 콜론 ) set number 를 입력한다. set nu 간단하게 set nu 를 입력해도 된다. 줄번호 ( Line Number , 라인 넘버 ) 를 표시하지 않으려면 set nonumber 동일하게 커맨드 모드에서 ( : , 콜론 ) set nonumber 명령을 입력한다. set nonu 라인 넘버 표시할 때와 동일하게 set nonu 명령으로 짧게 입력해도 된다. chown [소유권 변경] 리눅스에서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소유하는 소유자와 소유 그룹을 지정할 수 있다. 위 사진을 보았을 때 install.log 파일의 정보에서 root root라는 부분을 볼 수 있다. 앞의 root는 install.log의 소유자를 의미하고 뒤의 root는 소유그룹을 의미한다. 소유권 변경을 위한 명령어는 chown [옵션] 소유자:소유그룹 파일명 이다. 다음 표는 chown 명령어의 옵션을 정리한 것이다. 옵션 설명 -c 변경된 파일만 자세하게 보여준다. -f 변경되지 않은 파일의 오류메시를 출력하지 않는다. -v 작업상태를 자세하게 보여준다. -R 경로와 하위 파일을 모두 변경한다. 다음은 chown 명령어를 사용한 소유권 변경의 예이다. 1. ll 명령어를 사용해 디렉토리의 파일 정보를 본다. - 아.. AWS ELK를 구성해보자(2) # 엘라스틱 서치관련 디렉토리 접근권한 부여하기 나중에 실행하거나 다른 소프트웨어와 연동할 때 디렉터리 접근권한때문에 에러가 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미리 접근권한을 준다. # 필자는 아래의 명령어로 권한을 변경하니 오히려 실행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함. # 혹시 Permission deny 같은 오류 발생한다면 아래의 권한 실행명령어를 롤백하고 다시 실행해 보시기 바래요. sudo chown -R ec2-user:root /etc/elasticsearch sudo chown -R ec2-user:root /usr/share/elasticsearch/ sudo chown -R ec2-user:root /etc/sysconfig/elasticsearch sudo chown -R ec2-user:root /usr.. AWS ELK를 구성해보자(1) 1. 인스턴스를 생성하자 ELK 구성하는데 FreeTier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좀 성능상 부족할거 같긴 하나, 일단 해보자. 프리티어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2. 나머지 전부 기본값으로 생성하고, 보안그룹만 아래와 같이 새로운 보안그룹을 생성해 준다. 3. 키페어 다운로드 클릭 하여 키페어를 다운로드 하고 인스턴스 시작을 클릭하여 인스턴스를 시작한다. 4. 다운받은 key-pair 파일을 이용하여 SSH 접근까지 해보자. 5. EC2 생성과 SSH 접근이 끝났다. 이제 ElasticSearch를 설치해보자. # 시간대 설정하기 sudo cp -p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 java를 설치한다 sudo yum install java-1.8.0-ope.. ELK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 "ELK"는 Elasticsearch, Logstash 및 Kibana, 이 오픈 소스 프로젝트 세 개의 머리글자입니다. Elasticsearch는 검색 및 분석 엔진입니다. 이전 1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 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