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1204)
ERROR 정리 # ERROR 정리 - ERROR 내용 정리 1) JAVA에러 파악하기 - 에러로그를 볼때 참고 #) 보통은 주요 문자열에 에러의 Core 포인트가 담겨 있다. #) 밑에서 부터 보다가 Caused by 등 주요 문자열을 찾는다. 2) 로그 주요 문자열 (발견할때마다 추가) - Caused by - ETC : 문자열 확인 - Exception 부분 확인 3) 참고 자료 - Caused by에러 확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아래의 에러 로그는 좀 다른 케이스 인데, 특정 랑브러리가 없어서 난 에러로그 이다. WebIdentityTokenCredentialsProvider: To use assume role profiles the aws-java-sdk-sts module must be on the cla..
Producer에서 Topic 생성, Partition 개수 늘리기, Consumer 데이터 확인 및 기본 명령어 정리 # Producer에서 새로운 Topic 생성하기 및 기본 명령어 정리 1. 현재의 토픽 리스트를 확인하기 bin/kafka-topics.sh --list --bootstrap-server localhost:9092 --exclude-internal - 결과 확인 2. 테스트용 데이터를 발생하는 SpingBoot에서 새로운 Topic을 생성 후 Kafka에 전송 1) 아래와 같이 새로운 클래스를 생성한다. 2) 위에서 만든 클래스의 내용중 아래와 같이 토픽 이름을 지정 한다. 여기서는 "NewTopic-01"로 지정을 하였다. 3) 테스트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흘린다. - 대략 한번 데이터를 보내면 1000건정도 쌓인다. 4) Kafka 서버에서 Topic이 생성 되었는지 확인 - 명령어 : bin/ka..
Windows 원격 데스크톱연결, mstsc 연결 # Windows10에서 mstsc를 활용한 원격 데스크톱 연결 절차는 아래와 같다. 1. 왼쪽 아래 돋보기 검색창에서 원격 데스크톱 검색 → 클릭 2. 가운데 원격 데스크톱 활성화 클릭 후 활성화 진행 3. 방화벽 상태 확인메뉴로 이동 후 왼쪽 서브 메뉴 Windows Defender 방화벽을 통해 앱 또는 기능 허용 클릭 → 설정 변경 클릭 → 허용되는 앱 및 기능 항목에서 원격 데스크톱 항목 개인과 공용 모두 체크 후 저장. 4. 접속 하려는 컴퓨터 즉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mstsc 입력 후 접속 하려는 pc의 ip를 클릭하여 접속한다. 5. 접속하면 잘된다. 추가, 당연한 거지만 접속하려는 pc와 접속 대상의 pc는 모두 동일한 네트워크에 있어야 하고, ping을 통한 서로간 통신이 가능해야..
Kafka 설정 정리 # Kafka 설정 옵션 Zookeeper Config (zookeeper.properties) 옵션 설명 ✔ dataDir=/tmp/zookeeper 주키퍼의 상태, 스냅션, 트랜잭션 로그들을 저장 및 업데이트하는 디렉토리의 경로. dataLogDir=/data/zookeeper/logs 트랜잭션 로그를 저장하는 디렉토리. 특별한 설정을 하지 않으면 dataDir에 저장된다. 성능상 다른 디스크로 분리하는것이 좋다. ✔ clientPort=2181 클라이언트로 요청을 받기 위한 포트. initLimit=5 초기에 팔로워가 리더에 접속하거나 데이터를 동기화 시키기 위한 시간이며, 단위는 tickTime 이며 initLimit * tickTime으로 계산된다. syncLimit=2 follower가 lea..
Apache Kafka 주요 개념 정리 # Apache Kafka 주요 개념 정리 - 최근 이슈 카프카의 메타데이터 관리 도구인 주키퍼가 제거 될 예정... * 적용 전 고려사항 1) 하나의 파티션을 두개이상의 컨슈머가 소비할 수 없다. 2) 파티션을 늘리면 줄이질 못한다. 파티션을 초기 2, 4로 작게 생성 하고 향후 컨슈머의 LAG 등을 보면서 조금씩 늘리는게 좋다. 3) 브로커를 스케일 아웃을 하면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파티션들의 데이터가 자동으로 신규로 확장된 브로커로 전달되지 않고, 새로운 토픽의 데이터들만 전달 된다. 그래서 기존 토픽 데이터를 새로운 브로커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partiton reassign 작업을 진행해 줘야한다. - 추후 고려사항 생기면 계속 업로드 예정... 0. Kafka란? - 고성능 : 프로듀서와 컨슈머..
hosts 파일 관련 정리 # hosts 파일 관련 정리 1. DNS (Domain Name System) 이란? - 주소창에 http://223.130.195.200를 입력하면 네이버 메인화면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ip 주소를 모두 외우는것은 너무 비 효율적이라서 223.130.195.200 www.naver.com처럼 사용하기 편하게 등록을 한다. 다시 말하면 www.naver.com이라는 도메인을 요청하면 DNS 서버를 통해 223.130.195.200 주소를 자동으로 찾게끔 설정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2. hosts 파일에 대해 알아보기 - windows에서 관리하는 hosts 파일은 로컬 호스트용 DNS 이다. 도메인을 요청하면 외부의 서버로 가기전에 항상 접근하는 곳이 바로 이 hosts 파일이다. 그래서 host..
Cannot resolve symbol # Cannot resolve symbol 에러 해결하기 - 아래와 같은 문제 발생... 매우 간단한데 나 같은 경우는 아래의 과정으로 해결 build.gradle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 →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위와 같이 바꾸니 바로 해결 됨... 다양한 케이스가 존재할거 같음... - 끝 -
Cookie, Webstorage, JWT 개념 # Cookie, Webstorage, JWT의 개념 HTTP 의 무상태성 HTTP 프로토콜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Stateless(무상태성)이라는 것이다. Stateless란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클라이언트가 연속으로 서버에 요청을 보내도 서버는 요청간에 관계를 알지 못한다. 이는 서버의 확장성에는 큰 장점이 있지만 로그인과 같은 상태 유지가 필요한 기능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보안하기 위해 나온 서비스가 쿠키 서비스이다. 쿠키란? 브라우저 쿠키는 서버가 사용자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key : value 구조의 문자열이다. (최대 4KB 저장가능) 브라우저는 쿠키값을 저장해 놓았다가, 동일한 서버에서 재 요청 시 쿠키 데이터를 헤더에 담아 전송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