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1204) 썸네일형 리스트형 InteliJ - 코드 자동 접힘 문제 해결하기 # InteliJ 코드 자동 접힘 문제 해결하기 - 왜 자꾸 자동 접힘 되는건희? One-line methods 항목을 해제. - 설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IntelliJ 실행 > 상단 File > Settings에 들어가거나 Ctrl + Alt + S 단축키를 사용하면 된다. 설정에서 Editor > General > Code Folding > One-line methods 체크 해제 후 설정을 저장. - 이렇게 되어 주어 - 끝 - (2) Hexagonal Architecture - 구현 # Hexagonal Architecture을 구현해보자. 나는 개발자가 아니다. 흔히 이야기하는 TA (Technical Achitect) 업무를 하고 있다. 근데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이 되면서, 개발 코드와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를 모르고 인프라 아키텍처를 온전히 구현 할 수가 없다. 물론 개발자 처럼 알아야 하는건 아니지만, 코드를 가지고 개발자와 이야기를 할 정도가 되어야 한다. 그래서 Application단의 아키텍처 또한 알아 두어야 한다. MVC패턴부터 시작해서 LayerdArchitecture, HexagonalArchitecture등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단의 아키텍처도 하나하니씩 정리해보자. Hexagonal 아키텍처를 내 마음대로 인터넷을 보고 구현을 해보았다. 정.. (1) Hexagonal Architecture - 설계 # Hexagonal Architecture (또는 Ports and Adapters Architecture) 패턴 Hexagonal architecture 패키지의 샘플 코드에 대해서 알아보자. 예전부터 정리를 하자하자하자 했었는데 시간이 없어서 못했었다. 오늘 시간이 조금 생긴 관계로 샘플 코드를 만들고 정리를 해보면 아래와 같다. 일단 빈이란? 아래글을 참고. 빈(Bean)은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 관리되는 재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이다. 즉,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자바 객체를 뜻하며, 하나 이상의 빈(Bean)을 관리한다. 빈은 인스턴스화된 객체를 의미하며,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객체를 스프링 빈이라고 한다. 그리고 인스턴스 란? 인스턴스는 주로 아래처럼 된것을 인스턴스 라고 한다.. 자주쓰는 마크다운 명령어 정리 자주쓰는 마크다운 명령어 정리 줄바꿈 : 2번 스페이스 JVM 구동방식 JVM 구동방식에 대해 알아보기 자바는 자바를 구동할수있는 엔진이 필요하다. 그 엔진이 바로 JVM 즉, Java Virtual Machine 이다. 이 JVM에 의해서 해당 클래스 파일을 메모리에 로딩 한다. 그리고 로딩함과 동시에 해당 운영체제 플랫폼에 맞게 다시한번 재 컴파일을 진행한다. (재 컴파일을 하는 이유는 운영체제가 모두 다르므로...) JVM은 해당 운영체제에 항상 실행되고 있고, 실행 명령어가 떨어지면 클래스 파일을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그렇다면 왜 JVM은 독립적으로 실행되게 해놓았을까? 결론은 운영체제가 하나가 아니니, OS에 독립적으로 구동을 하여, 어느 OS에서나 실행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해당 JVM을 독립적으로 구동 하게끔 해놓았다. (특정 운영체제에 종속 X,.. Lambda@Edge # Lambda@Edge 구성하기 1. 생성 - 버지니아 북부 리전에서 Lambda를 생성한다. 배포는 아래와 같이 작업 버튼을 클릭하여 배포가 가능하다. 배포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CloudFront의 단일 배포로 이루어 진다. - 생성을 하면 생성이 안된다. 권한을 부여해 줘야 한다. 아래의 커스텀 역할을 생성한다. { "Version": "2012-10-17", "Statement": [ { "Effect": "Allow", "Principal": { "Service": [ "edgelambda.amazonaws.com", "lambda.amazonaws.com" ] }, "Action": "sts:AssumeRole" } ] } 여기서 위의 역할을 나는 edge_role_test라고 생성을 하였.. S3 - CloudFront - Route53 연동 # S3 - CloudFront - Route53 연동 1. S3 버킷 생성 버킷을 생성할때 일단 퍼블릭 접근이 가능하도록 생성을 진행한다. 추후에 변경을 하면 된다. 그리고 웹 호스팅 활성화 → index.html, error.html 파일을 넣고 설정한다. 2023.11.14 - [⭐ AWS/S3] - S3 버킷 정적 웹 호스팅 사용하기 S3 버킷 정적 웹 호스팅 사용하기 # S3 버킷 정적 웹 호스팅 사용 - S3 버킷의 속성을 클릭 후 가장 아랫부분에 아래의 화면처럼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편집을 할 수 있다. - 활성화를 클릭하면 아래의 옵션을 지정 할 수 있다. index. may9noy.tistory.com - 결과는 아래와 같다. 2. CloudFront 배포 생성 배포 생성 클릭 → 원본.. CloudFront 에서 국내와 해외 인증 절차 구성 with S3, CloudFront Function, Lambda@Edge # CloudFront에서 국내에서 접근하는 사용자와 해외에서 접근하는 사용자를 구분하는 인증 아키텍처 구성 1. 간단하게 구성도를 그리면 아래와 같다. 2. CloudFront와 S3연동 - CloudFront의 endpoint로 접속 시 S3에 있는 index.html을 불러오도록 설정 2024.01.05 - [⭐ AWS/CloudFront] - CloudFront와 S3 연동 CloudFront와 S3 연동 # CloudFront에서 배포 하기 1. CloudFront 배포 설정하기 with S3 - 클라우드 프론트도 도메인을 가지고 있다. 해당 도메인을 찌르면 S3에 설정한 정적 데이터를 호출한다. - 보안 탭을 보면 WAF를 설정할 may9noy.tistory.com 3. CloudFront F..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