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1202)
AWS EC2인스턴스 생성 후 복사 AMI 생성 후 인스턴스 복사 - 인스턴스 오른쪽 마우스 클릭 > 이미지 > 이미지 생성 - AMI 이미지 > 시작 클릭 > 인스턴스 유형설정 인스턴스 생성 > 인스턴스 활성화 상태 되어 있는지 확인
리눅스 서버관리 실무기법들 리눅스서버관리 실무기법들 telnet (원격접속을 위한 텔넷활용) 텔넷 명령어 모음  telnet은 우리가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원격접속 도구 이다 - 프롬프트 창에서 telnet 입력 -> 접근 - quit 입력하면 빠져나옴 - telnet 입력후 접속하는 프롬프트 창에서 많은 명령어를 활용가능 --> close : 현재 연결을 종료 --> logout : 원격접속된 사용자를 강제 로그아웃 후 강제종료 --> display : 텔넷 환경인수들을 출력 --> mode : 문장 또는 문자모드를 받아들이도록 수행 --> open : 원격서버로 접근 시도 --> quit : 텔넷 종료 후 쉘로 빠져나옴 --> send : 특수문자를 전송 --> set : 텔넷 환경 인수들을 설정 --> unset ..
리눅스 네트워크 관리 리눅스서버 - 네트워크 관리 195p - ping (네트워크 통신 테스트) o - ping은 ICM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 사용법 : ping 111.111.111.111 - 타임값이 낮을수록 서버와 통신이 빠르다는것 (즉 타임값이 낮을수록 네트워크 회선속도가 빠르다는것) - ip주소 대신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테스트 가능 - ping www.naver.com 명령어 옵션 -s : ping 테스트 시 사용할 패킷사이즈 크기 설정 -q : ping 테스트 결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주지 않고, 결과만 보여주는 옵션 -i : ping 테스트 시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옵션 -b : ping 테스트 시 ping 테스트 하는 서버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호스트로 패킷을 보냄 -c : ping 테스트 시 보낼..
AWS 콘솔에서 AWS MySQL RDS 인스턴스의 기본 MySQL 파라미터 값을 확인하는 방법 How to see default MySQL parameter values of AWS MySQL RDS Instance ? I checked AWS RDS Console and didn't find any default value ? AWS MySQL RDS 인스턴스의 기본 MySQL 매개 변수 값을 확인하는 방법? AWS RDS 콘솔을 확인하였고 기본 값을 찾지 못했는데? Edit on looking [here][2] it shows : ( So should I follow this documentation?) wait_timeout Command-Line Format --wait-timeout=# System Variable Name wait_timeout Variable Scope Global, ..
데이터베이스(my-sql) timeout 설정하기 커넥션 관련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있다. 그 경우 데이터베이스 타임아웃이 많아서 변경해보도록하자 pi@raspberrypi :~ $ sudo mysql -uroot MariaDB [(none)]> show variables like '%timeout'; +----------------------------------------+----------+ | Variable_name | Value | +----------------------------------------+----------+ | connect_timeout | 10 | | delayed_insert_timeout | 300 | | innodb_flush_log_at_timeout | 1 | | innodb_lock_wait_timeou..
AWS EC2 인스턴스 성능(사양) 변경 (인스턴스 유형 변경) t2.micro 인스턴스 유형을 사용하고 있는 서버의 인스턴스 유형을 변경해보자~ t2.micro 는 고사양의 프로그램을 돌리기에는 버거우므로, 인스턴스 변경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 인스턴스 유형변경 절차 1. 변경을 원하는 인스턴스를 중지 2. 인스턴스가 완전히 중지상태가 되면 해당 인스턴스를 우클릭, [인스턴스 설정] - [인스턴스 유형변경] 들어감 3. 인스턴스 유형을 아래 화살표로 클릭하여 선택 → [적용] 4. 적용 후 해당 인스턴스를 [시작] 5. 인스턴스가 구동된 이후에 해당 인스턴스에 접속하여 free 명령어를 입력하여, 실제 메모리용량이 늘어난건 확인. 6. 간단하지만 실수가 없이 작업해야함 -끝-
name서버, cname 확인하기 whatsmydns.net 사용해 도메인 DNS 레코드 확인하기 whatsmydns.net에서 도메인 전파 여부와 더불어 레코드가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whatsmydns.net에서 DNS 레코드를 확인할 때, 초록색 체크표시는 해당 서버에 레코드가 전파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빨간색 체크표시는 레코드가 전파되지 않았거나, whatsmydns.net과 서버 사이에 소통 문제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아래 스크린샷 예시를 확인해 보세요. 참고: DNS 레코드가 전파되는 데는 최대 48시간이 소요됩니다. 자세히 보기 도메인 네임서버 확인하기 도메인이 네임서버를 통해 Wix에 연결되어 있다면, 반드시 다음 레코드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내 도메인의 현재 네임서버를 확인하려면: Go to whats..
리눅스에서 OS버전 확인하기 # 리눅스 OS 버전 확인 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현재 사용 중인 OS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uname -a 혹은 아래와 같이 입력해도 확인할 수 있다. cat /etc/issue 위 2개 결과가 약간 다른걸 볼 수 있는데, 전자는 Linux 자체의 버전이 나오고, 후자는 CentOS인지 Red Hat인지 나온다. ​ 조금 더 자세히 알고 싶은 경우 아래와 같이 확인 가능하다. cat /etc/*rel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