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04) 썸네일형 리스트형 Prometheus 프로메테우스 설치 및 실행 - curl -LO https://github.com/prometheus/prometheus/releases/download/v2.5.0/prometheus-2.5.0.linux-amd64.tar.gz -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프로메테우스 다운로드를 수행한다. - 다운로드한 프로메테우스 파일을 압축 해제한다. - sudo tar xvfz prometheus-2.5.0.linux-amd64.tar.gz - 압축 해제한 폴더로 이동한다. → cd prometheus-2.5.0.linux-amd64 - 압축 해제한 폴더에서 ./prometheus -config.file=prometheus.yml 명령을실행한다. - 이제 프로메테우스 모니터링 웹서버가 구동 되었다. IP + Port를 입력하여 접근을 해보자... EC2 인스턴스의 EBS 용량을 증설해보자 - EC2 인스턴스의 대시보드에서 용량을 증설하기위한 인스턴스 ID를 클릭 후 스토리지 탭으로 이동하자. - 스토리지 탭에서 볼륨ID를 클릭하여 볼륨설정 화면으로 이동하자. - 볼륨설정 화면으로 이동하고, 볼륨 ID 에 마우스포인트를 올려놓고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 메뉴에서 볼륨 수정을 클릭하자. - 볼륨 수정을 클릭하면 위의 그림처럼 볼륨 사이즈를 입력 할 수 있는 칸이 나온다 원하는 사이즈만큼 입력 후 수정 버튼을 클릭하자. - 볼륨 수정에 관련된 유의사항이 나오고, 예를 클릭하여 수정작업을 마무리하자. - 시간이 조금 후른 후 볼륨수정 성공 메세지가 출력된다. - 실제로 8GB에서 16GB로 용량이 증가한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실제 SSH로 접속하여 사이즈가 df -h 명령어를 실행, 실제 사.. [책 리뷰] 완벽한 IT 인프라 구축을 위한 Docker (1) - docker system info를 입력하여 현재 실행되고 있는 docker 시스템의 정보를 획득한다. - 여기서는 컨테이너 갯수, 도커버전 및 스토리지 종류 등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 docker system df 명령어를 입력하여 현재 docker가 사용하고 있는 용량을 확인 할 수 있다. - docker pull nginx 를 입력하여 nginx 웹서버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 nginx 는 오토스케일링을 지원하고 대용량 웹서버 구축에 자주 활용된다. - docker image ls 를 입력하여 현재 docker image들의 리스트를 확인 할 수 있다. - docker 컨테이너를 기동해 보자. - docker container run --name webserver -d -p 1004.. AWS 람다를 이용하여 정해진 시간에 EC2를 시작 및 종료하기 # 실습내용 1. IAM 정책과 역할을 생성하자 2. 람다로 코드를 작성하자 3. 클라우드 와치에서 규칙을 생성하자 4. 참고 사이트 : cholol.tistory.com/506 - IAM 설정화면으로 이동한 뒤 정책 → 정책생성을 클릭하여 새로운 정책을 생성하자. - 위의 화면처럼 EC2에 대한 시작과 종료 작업을 사용 할 수 있도록 설정한 뒤 권한추가를 눌러 추가 권한을 부여하자. - 클라우드와치에서 트리거역할과 실행 결과를 로그에 담아야 하니 위의 화면처럼 구성을 해주자. - 다음을 클릭하여 해당 정책의 이름을 정해주자. - 그 다음으로는 생성한 정책을 역할과 연결해주기 위해 역할을 클릭, 역할 만들기를 클릭하여 역할을 생성하자. - AWS 서비스, 그리고 람다를 선택한다. - 이전에 생성한 정책을.. Crontab 사용방법 1 2 3 4 5 program(실행할 명령어) 1. 분(0-59) 2. 시(0-23) 3. 일(0-31) 4. 월(1-12) 5. 요일(0-7, 0 또는 7 = 일요일, 1 = 월요일, 2 = 화요일 ...) 6. 실행할 명령어 예시 ) - 5분마다 실행하는 cron 명령어 : */5 * * * ? * 1. "*"표시는 각 필드의 모든 시간대를 설정하는 것 크론탭을 등록할 때는 핑크색으로 표시한 것처럼 쓰게 됩니다. 각 필드는 하나 이상의 space로 구분되고, 한 줄당 하나의 명령어만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각 필드에 특정 값을 집어 넣어서 그 특정 시간에 명령어가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죠. 예를 들어, 1 2 * * 5 명령어 라는 것이 있으면, 금요일 2시 1분마다 명령어가 실행된다는 것을 의미합.. AWS CLI를 설치하자 - 우선 파이썬이 설치 되어있는지 확인해 보자. - 설치가 안되어 있으면 위의 그림과 같이 나온다. - 명령어를 입력하여 파이썬을 우선 설치한다. - pip가 설치 되어있는지 확인한다. - 설치가 안되어 있으면 역시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치를 진행한다. - AWS CLI를 설치한다. - 최종적으로 설치 버전을 확인하여 위와같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된 것이다. - aws configure를 입력하여 CLI 모드로 진입하자. - aws ec2 describe-instances를 입력하여 인스턴스들이 설정된 스크립트를 확인 할 수 있다. - 그외에 명령어는 aws help를 입력하여 위의 사진처럼 확인이 가능하다. ARN 이란? ARN 이란? - AWS의 리소스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 - 태그 , API호출과 같은 모든 AWS 리소스를 지정해야할 필요가 있는 경우 ARN을 사용한다 ARN 예제 1. Elastic Beanstalk의 Application Version을 지정하기 위한 ARN arn:aws:elasticbeanstalk:us-east-1:123456789012:environment/My App/MyEnvironment 2. IAM의 User의 Name 자원을 지정하기 위한 ARN arn:aws:iam::123456789012:user/David 3. RDS 인스턴스를 위한 ARN arn:aws:rds:eu-west-1:123456789012:db:mysql-db 4. S3 버켓에서의 ARN arn:a.. Zabbix Agent 설치 # 구현 목표 - Zabbix 서버와 Zabbix 클라이언트간 통신을위한 Agent 설치 - 정상적으로 데이터 수집하는지 체크 및 모니터링 구현 - apt-get install zabbix-agent 명령어를 사용하여 zabbix agent 설치 - zabbix 환경셜정 변경을 위해 vi /etc/zabbix/zabbix_agentd.conf 명령어로 conf 파일로 접근 - Server에는 zabbix 서버가 설치되어 있는 IP 주소를 입력 - Hostname도 원하는 이름으로 등록 - 설정 → 호스트 → 호스트 명 →그룹설정 → 에이전트(자신의 IP 주소 입력) → 템플릿으로이동 - 템플릿에서 위와같이 Linux by zabbix agent 선택 후 갱신 클릭 - ZBX 가 초록색으로 표시되면 정상적.. 이전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 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