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rraform 변수 (2) 썸네일형 리스트형 Terraform Variable (변수를 활용한 인프라 생성) # 테라폼에서 변수를 활용한 인프라 생성 - 변수를 활용한 인프라 생성은 재사용 측면에서 유용하다. 변수값만 변경하여 새로운 리소스 환경을 생성할 수 있다. - 일단 파일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main.tf, output.tf, vars.tf) - 생성할 테라폼 main.tf 코드는 아래와 같다. provider "aws" { region = "ap-northeast-2" } resource "aws_instance" "example" { ami = "ami-0eddbd81024d3fbdd" instance_type = "t2.micro" vpc_security_group_ids = ["${aws_security_group.instance.id}"] user_data = Terraform 변수 사용 # Terraform 변수 사용에 대해서 알아본다. - 변수의 기본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 기본적으로 아래의 코드에서 var로 선언된 부분은 해당 폴더안에 vars.tf 라는 파일이 존재해야 하고, 해당 파일안에 해당 변수를 나타내는 내용이 있어야 한다. # 기본 문법 Name = "${var.변수명}" # 사용 예시 tags = { Name = "${var.alltag}-rtb-public" } - 기본적인 폴더 및 파일의 구조를 보면 아래와 같다. 예를들어 vpc라는 폴더안에 main.tf 파일과 vars.tf 파일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main.tf파일은 리소스 변수를 선언하고 실행한다. vars.tf는 해당 변수를 외부 모듈로 부터 받을수 있도록 선언되어 있다. 설명이 좀 부족한데 아래의 코..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