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 통신 (3) 썸네일형 리스트형 파드, 서비스 도메인을 이용한 통신 CoreDNS는 파드 또는 서비스를 도메인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파드/서비스 도메인은 설정 후 변경되는 파드IP, 서비스 IP의 불편함을 해결해줍니다. 파드 또는 서비스가 수정된다면 (Cluster)IP가 수정됩니다. CoreDNS는 파드와 서비스에 대한 도메인을 관리하며 해당하는 DNS요청이 오면 DNS응답을 전달합니다. - 파드 도메인과 서비스 도메인의 생성 방법은 아래와 같다. 파드 도메인: ..pod.cluster.local 서비스 도메인: ..svc.cluster.local - 하지만 EKS에서 노드그룹을 수정하면 초기화가 서비스 도메인으로 설정해 놓아도 초기화가 된다. - 끝 - (EKS) 동일 Namespace내의 pod간 통신 테스트 pod간 통신 확인 및 curl 을 통해 pod간 API 호출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기본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kubectl exec -it [pod_name] -n [namespace_name] -- bash 1. pod 리스트 조회 kubectl get pod kubectl get pod -n {namespace_name} 2. pod 내부 접근 kubectl exec -it mynginx-pod -- bash 컨테이너에서 실행할 명령어(bash) 앞에 -- 을 붙여준다. 3. pod간 통신 및 pod와 node간 통신 확인하기 - pod의 ip를 조회한다. kubectl get pod -n {namespace_name} -o wide - pod에 접속한다. kubectl exec -it {pod_.. 실행중인 pod로 접근 및 연결 확인하기 (pod ping test) 현재 실행중인 pod로 접근하여 리소스 정보를 확인한다.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kubectl exec -it [pod_name] -n [namespace_name] -- bash 1. pod 리스트 조회 kubectl get pod kubectl get pod -n {namespace_name} 2. 조회한 pod id를 활용하여 pod 내부로 접근한다. (docker container 접근 방법과 매우 유사하다.) kubectl exec -it {pod_id} /bin/bash 3. 실행 했는데 에러 발생함 → 구글 검색 시작 kubectl exec [POD] [COMMAND] is DEPRECATED and will be removed in a future version. Use kubectl ex..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