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O (2) 썸네일형 리스트형 DTO에서 데이터 꺼내오기 # DTO에서 데이터 꺼내오기 - 프로세스 1 - 프로세스 2 - SpringBoot의 프로세스는 비교적 단순하다. 위의 프로세스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위의 프로세스 구조만 잘 맞춰주면 개발하는데에는 큰 문제가 없다. - dto에서 데이터를 꺼내오는 과정도 매우 간단하다. entity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것과 동일하다. @AllArgsConstructor @ToString public class LoginForm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pwd; // dto를 entity로 변환, POST로 데이터를 전달하고 // DB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Entity 타입으로 변경해야 한다. public Login toEntity().. Dto와 Entity # Dto와 Entity - DTO 의 역할 DTO는 프로세스 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용도의 객체이다.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하지 않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단순한 객체 를 뜻하고 MVC 패턴에서는 주로 Client 와 Controller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DTO는 주로 POST로 값을 전달할때 사용 되는거 같고 해당 값을 Entity로 넘기거나 할때 사용 되는거 같다.) - ENTITY의 역할 ENTITY는 JPA 의 실제 DB 의 테이블과 매핑되는 객체로서, 서비스에서 행하는 Business 로직 중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역할을 수행하는 객체라 할 수 있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