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tion 생성 (1) 썸네일형 리스트형 Private Subnet에 존재하는 EC2에 접근하기 # 트래픽 전달의 이해 일단 Bastion 호스트로 연결된 리소스는 해당 Bastion 호스트를 통해 데이터를 송 수신한다고 볼 수 있다.그러므로 Bastion 호스트의 자원의 상황이라던가 스펙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듯 싶다. # 내부망에 존재하는 서버에 접근하기 PrivateSubnet이 내부망이므로 PublicSubnet에 존재하는 자원이 PrivateSubnet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중간 매개체가 필요한데 이것을 Bation Host 라고 부른다. 아래의 그림에서 숫자를 따라가면 WorkFlow를 볼 수 있다. # 내부망에 존재하는 EC2 인스턴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과정을 수행 해야 한다. # Bastion Host의 정의는 아래 참조 2022.05.03 - [AWS/AWS 용어정리] -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