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프링 부트

(2)
SpringBoot 구조 정리 # SpringBoot의 흐름 - 스프링은 Domain → Repository → Service → DTO → Controller구조로 되어 있으며 코드를 작성하는 순서도 이와 같다. - Domain에서 DB와 관련된 클래스를 작성하고 Repository로 Doamin에 작성된 필드 접근을 위한 CRUD를 생성하고 DTO로 어떤 테이블에 어떤 필드로 접근할지 정의한다. - Service에서 외부에서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메소드를 정의하고 외부에서 요청이 오면 Controller를 통해서 Service로 DB에 접근하여 요청을 처리하게 된다. # SpringBoot 구조정리 - 스프링 부트가 어떤 데이터 흐름을 가지고 데이터가 전달되는 순서와 각각의 패키지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정의 # 코드 작..
MSA (스프링 부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4가지 방법) 1. 포트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기동 2. 어플리케이션 클론을 생성, 복사 후 Modify options에서 add VM options 항목을 추가 -Dserver.port=9002 를 입력 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9002번 포트를 타고 실행된다. 3. mvn spring-boot:run -Dspring-boot.run.jvmArguments='-Dserver.port=9003' 명령어를 입력하여 실행. 4. 마지막 네번째로는 CMD창에서 - 명령어: java -jar -Dserver.port=9004 ./target/user-service-0.0.1-SNAPSHOT.jar 5. 4개의 포트를 각각의 방법으로 기동 후 매니저 콘솔에서 상태 확인 - 4개의 서비스가 구동중인것을 확인 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