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pringboot와 pod의 포트는 application.yaml 이나 properties에서 설정을 아래와 같이 해주어야 한다.
그래야 pod에서 포트를 뚫는다. (윈도우 에서는 그냥 됐었는데 쩝)
# HTTP 포트
server.port = 8899
server.port.test = 5200
위의 포트 외에는 pod를 생성할때 모두 막아 버린다.
해당 pod가 포트가 열렸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pod를 2개이상 생성한다.
2. 2개의 pod 중 1개에 pod에 접속한다.
3. apt update 등 해당 pod가 가지고 있는 os를 업데이트 한다.
4. apt install telnet 을 설치 후 해당 pod의 ip로 telnet이 접근 가능한지 테스트 한다.
- telent {ip} {port}
5. 위의 작업을 하면 스프링에서 명시적으로 열어놓은 포트만 접근을 한다.
C:\Users\김승현>kubectl exec -it helloworld-7d549d89c6-7gm2h -n helloworld -- bash
root@ip-10-0-141-113:/# telnet 10.0.144.42 8899
Trying 10.0.144.42...
Connected to 10.0.144.42.
Escape character is '^]'.
^]
telnet> quit
\Connection closed.
나중에 정리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