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28) 썸네일형 리스트형 서브넷팅 계산방법 서브넷팅 계산 방법 서브넷 마스크는 2진수로 표현하였을 때 Network ID 부분은 1이 연속적으로 있어야 하며, Host ID 부분은 0이 연속적으로 있어야 한다. 즉, 중간에 1이나 0이 섞이면서 나열될 수 없다. 이로 인해 서브넷 마스크가 Network ID를 확장하면서 1bit씩 확보하게 되면 네트워크 할당 가능 수가 2배로 증가하지만 반대로 호스트 할당가능 수가 2배로 줄어들게 된다. 예를 들어 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255.255.255.0)에서 네 번째 옥탯에 1bit를 확보하면 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255.255.255.128)이 된다. 예를 들어 194.139.10.7/25 라는 IP를 서브넷팅 해보자. .. Public DNS를 활성화 하는 방법 # 퍼블릭 DNS 활성화 방법 1. 해당 EC2 인스턴스에서 VPC ID를 클릭하여 해당 VPC로 이동 2. VPC ID 우클릭 하여 DNS 호스트 이름 편집 클릭 3. DNS 호스트 이름 체크 활성호 후 변경 사항 저장 - 끝 - 사용중인 포트 죽이기 (ex : 3306) 포트 사용여부 확인 및 죽이기 netstat -ano | find "LISTENING" | find "80" tasklist /FI "PID eq 3792" (의미 :: PID가 3792인 프로세스를 확인한다.) taskkill /F /PID 3792 (의미 :: PID가 3792인 프로세스를 죽인다.) 1-1.해당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직접 확인하는 방법 C:\> for /f "tokens=5" %p in (' netstat -ano ^| find "LISTENING" ^| find "80" ') do tasklist /FI "PID eq %p" 1-2. 해당 포트 프로세스 중지하기 C:\> for /f "tokens=5" %p in (' netstat -ano ^| find "LISTENING".. name서버, cname 확인하기 whatsmydns.net 사용해 도메인 DNS 레코드 확인하기 whatsmydns.net에서 도메인 전파 여부와 더불어 레코드가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whatsmydns.net에서 DNS 레코드를 확인할 때, 초록색 체크표시는 해당 서버에 레코드가 전파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빨간색 체크표시는 레코드가 전파되지 않았거나, whatsmydns.net과 서버 사이에 소통 문제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아래 스크린샷 예시를 확인해 보세요. 참고: DNS 레코드가 전파되는 데는 최대 48시간이 소요됩니다. 자세히 보기 도메인 네임서버 확인하기 도메인이 네임서버를 통해 Wix에 연결되어 있다면, 반드시 다음 레코드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내 도메인의 현재 네임서버를 확인하려면: Go to whats..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