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Kubernetes & EKS/Kubernetes (쿠버네티스)

우분투에 비주얼 스튜디오 , 쿠버네티스 설치 및 yaml 파일 작성과 적용

728x90
반응형

# 버추얼 박스에 비주얼 스튜디오 설치하기

kubectl get nodes

- kubectl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 vs code를 설치하면 된다.

- 나는 마스터 노드에서 kubectl을 사용하므로 마스터노드에 설치 하겠다.

# vs 코드 설치

sudo snap install code --classic

# vs 코드 실행

code

우분투 icon 검색에서 code 검색 > icon 클릭하여 실행

# VS를 활용한 Yaml 파일 작성과 적용

# 쿠버네티스 플러그인 설치

extention 아이콘 클릭 > kubenetes 검색 > 설치 

- 설치가 완료되면 왼쪽 사용자탭에 항해사 아이콘이 생김

- 아이콘을 클릭하여 다양한 정보를 커맨드에서 명령어로 실행하지 않고, Gui 환경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 VS를 활용한 yaml 파일 작성과 적용

cd /yaml

vs에서 yaml 저장소로 이동하고 우측상단 OK 클릭하여 Yaml 파일 리스트 불러오기

- 아무 yaml 파일을 vs 코드에서 열고 컨트롤 + 쉬프트 + p 를 누르면 kubernetes의 명령도움을 사용할 수있다. 여기서 바로 명령을 실행 할 수 있다.

- 실행된 내역도 확인이 가능하다 workload > pods 에 가면 실행된 pods를 확인 할 수 있다.

- 컨트롤 + 쉬프트 + p 를 누르고 apply를 사용하면 수정된 내역의 확인과 바로 즉각 적용이 가능하다.

# 신규 extensions 설치

kubernetes 검색 > kubernetes support 설치 (yaml 파일 자동작성)

# 테스트

test.yaml 파일을 vs에서 작성하고, pod 라고 입력만 하면 pod 템플릿이 생성이 된다.

여기서 생성된 pod 정보만 변경하여 create 하면 적용이 바로 되는것을 볼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