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Kubernetes & EKS/Kubernetes (쿠버네티스)

jenkins를 yaml파일로 작성하여 실행하기

728x90
반응형

# 연습문제

# jenkins 를 실행하기

cp go-http-pod.yaml jenkins-manual-pod.yaml

gedit jenkins-manual-pod.yaml

# 파일 내용 입력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jenkins-manual
spec:
  containers:
  - name: jenkins
    image: jenkins/jenkins:lts
    ports:
    - containerPort: 8080

# jenkins pod 생성 및 실행

kubectl create -f jenkins-manual-pod.yaml

kubectl get pod

kubectl exec jenkins-manual -- curl 127.0.0.1:8000

kubectl exec jenkins-manual -- curl 127.0.0.1:8000 -s

# jenkins port를 포트포워딩

kubectl port-forward jenkins-manual 8888:8080

127.0.0.:8888

# jenkins 초기 패스워드 입력

kubectl logs jenkins-manual

패스워드 복사 후 웹페이지에 붙여넣어 인증 확인

# jenkins-manual pod 를 yaml 파일로 출력하기

kubectl get pod jenkins-manual -o yaml

kubectl describe pod jenkins-manual

* 간혹가다 쿠버네티스 서비스를 실행시켰는데 상태가 pending인 경우가 있다.

이때는 worker들이 정상적으로 살아 있는지 확인 해야한다.

쿠버네티스의 마스터 노드는 단지 서비스를 관리하고 실행하는 역할이므로 실제 서비스는 worker노드에서 실행된다.

그래서 항상 worker노드가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어 있어야만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