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Kubernetes & EKS/Kubernetes (쿠버네티스)

Minikube 설치

728x90
반응형

# 미니큐브 설치

관련정보 URL : https://blog.naver.com/isc0304/221879359568

# 가상파일 시스템 가져오기

(docker)ubuntu-18.04.2-desktop-amd64.ova 파일 불러오기

# 도커 설치하기

sudo apt install docker.io -y

# 미니큐브는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할수 업게 되어 있으므로 권한을 조정 해야함

sudo usermod -aG docker $USER && newgrp docker

docker ps -a

# 미니큐브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sudo apt install curl

curl -LO https://storage.googleapis.com/minikube/releases/latest/minikube_latest_amd64.deb

sudo dpkg -i minikube_latest_amd64.deb

# 미니큐브 실행하기

우리는 도커 환경을 사용할 예정이기 때문에 --driver에 docker를 전달하도록 한다. 

참고로 root 권한으로 실행할 때는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minikube start 명령은 쿠버네티스 실행을 진행한다.

minikube start --driver=docker

# Minicube 접속하기

sudo snap install kubectl --classic

kubectl get nodes 를 해보면 minikube 가 실행되고 있는것을 볼 수 있다.

docker ps 를 해보면 여기도 역시 minikube 가 실행되고 있는것을 볼 수 있다.

# minikube에 SSH로 접속하기

minikube ssh

docker ps > 상당히 많은 컨테이너를 확인 할 수 있다.

# minikube 에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kubectl get pod

kubectl create deploy hello-minikube --image=k8s.gcr.io/echoserver:1.10

# 외부에서 접근가능하도록 설정

kubectl expose deploy hello-minikube --type=NodePort --port=8080

kubectl get svc

# minikube 설정파일

cat .kube/config

중간에 server: http ~ 정보가 보인다. 이 ip 주소가 docker가 가지고 있는 ip 주소이다.

이 ip 주소와 kubectl svc 를 실행하면 hello-minikube의 포트를 확인할 수있는데, 8080: 옆에있는 포트 주소를 아래의 ip뒤에 붙여넣어 실행하자.

https://192.168.49.2:32358

# minikube 실행 프로세스

1. 우분투 안에 docker를 설치

2. docker 안에 컨테이너 형대로 minikube를 설치

3. minikube안에 쿠버네티스에서 사용되는 수많은 컨테이너들이 설치되어 있다.

4. 결국 docker를 활용하여 쿠버네티스를 구현한거라고 보면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