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Kubernetes & EKS/Kubernetes (쿠버네티스)

쿠버네티스 기초 (실행 개념)

728x90
반응형

# 쿠버네티스의 핵심 기능 > DevOps

1. 개발자 돕기 : 핵심 애플리케이션 기능에 집중

2. 운영팀 돕기 : 효과적으로 리소스를 활용

마스터노드 : 시스템을 관리 통제, 컨트롤 플레인을 관장

워커 노드 : 실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담당

# 쿠버네티스의 실행 순서

1. 개발자는 배포할 이미지를 이미지 레지스트리에 push 해놓음

2. 앱 디스크립터 라는 yaml 파일로 문서를 작성

3. kube api 서버(마스터 플레인)가 슬레이브 노드에게 yaml 파일로 작성된 내용에 대해 명령을 내림

4. 명령받은 이미지를 docker registry에서 받아와서 실행

# 스왑기능

- 스왑기능은 메모리의 데이터를 hdd로 보내서 실행을 하는것

- 메모리와 hdd의 속도차가 발생하므로, 스래싱 현상이 발생함

- 쿠버네티스의 사상과 스왑기능은 맞지않아 스왑 기능을 끄고 설치 및 실행 해야함

- 결국 쿠버네티스가 스왑 기능을 자동으로 관리해줌

728x90
반응형